728x90
[Q] 단일 제품을 개발하는데 지출된 개발자 인건비인 직접노무비의 총액을 알고 있다. 직접노무비 총액을 제품단가에 반영을 하려면 어떻게 하면 되는가?
단일 제품의 개발에 투입된 개발자 인건비(직접노무비 총액)를 제품단가에 반영하려면, 이 인건비 총액을 예상 생산수량 또는 실제 생산수량 기준으로 배분하여 제품 1개당 단가에 포함시켜야 합니다. 이는 원가계산의 기본적 절차 중 하나이며, 아래와 같이 단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1. 기본 전제
- 단일 제품만을 개발 중이며,
- 제품 생산이 예정되어 있거나 일부 생산을 완료했으며,
- 해당 개발자 인건비는 오직 해당 제품의 제조에 기여한 직접노무비임
2. 직접노무비 총액 예시
- 예를 들어 개발자 인건비 총액 = 1억 원
3. 제품 생산량 산정
① 예상 생산수량을 사용하는 경우
- 대량생산 예정 제품인 경우, 향후 예상 생산수량(예: 10,000개) 기준으로 배분 가능
- 이 방식은 초기 단가 산정이나 사업계획 수립 단계에서 주로 활용
② 실제 생산수량을 사용하는 경우
- 소량 생산, 주문제작 또는 단기간 내에 생산이 완료된 경우에는 실제 생산수량(예: 5,000개) 사용이 더 정확함
- 이 방식은 제조원가 계산 및 결산 시점에서 활용
4. 제품단가에 직접노무비 반영 방식
5. 회계 및 원가계산 처리
- 이 단가를 바탕으로 단위 제조원가를 산정할 때, 직접재료비, 직접노무비, 제조간접비 등을 합산합니다.
원가항목 | 금액(예시) |
직접재료비 | 20,000원 |
직접노무비 | 10,000원 |
제조간접비 | 5,000원 |
총 제조원가 | 35,000원 |
→ 위와 같이 제품 단가에 직접노무비가 반영됩니다.
6. 주요 유의사항
- 예상 생산량이 과소 추정되면 단가가 과도하게 높아질 수 있으며, 반대로 과대 추정되면 단가가 과소 계산되어 향후 손익 왜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따라서, 예상 생산량은 보수적으로 추정하고, 정기적으로 실제 생산량 기준으로 조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회계상으로는 직접노무비는 제조원가로 처리되어 재고자산(제품, 재공품)으로 자산화되며, 판매 시점에 매출원가로 인식됩니다.
결론
단일 제품 개발에 사용된 개발자 인건비 총액은 전체 생산수량으로 나누어 단위 제품당 직접노무비를 계산하고, 이를 제품 단가에 포함시키는 방식으로 제조원가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회계기준에 부합하며, 실제 재무보고 및 원가관리에도 적절하게 활용됩니다.
728x90
'회계 > 원가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CVP(cost-volume-profit) 도표(chart) (0) | 2025.05.03 |
---|---|
공헌이익(Contribution Margin) (0) | 2025.05.02 |
CVP(Cost Volume Profit) 분석 (0) | 2025.05.02 |
[Q] 단일 제품만 개발 개발자 인건비 (0) | 2025.05.02 |
[Q] 순수하게 그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유형자산인 경우에도 제조원가에 포함이 될 수 없는가? (0) | 2025.05.01 |